백두산 천지를 중심으로 화산분화 징후가 잇따라 나타나면서 피해 대응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가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.
15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(KIGAM)은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‘깨어나는 백두산 화산 어떻게 할 것인가?’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는데요.
이날 토론회는 백두산 화산활동의 감시 및 연구 활동을 공유하고 인도적 차원의 대응책을 통한 국가적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.
국회도서관에서 열린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심재권, 이상민 의원이 공동으로 주최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통일부가 후원했습니다.
또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포스텍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, 백두산화산마그마연구그룹이 공동으로 주관했는데요.
학계는 물론 연구기관과 연론, 정부부터 관계자 등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이어나갔습니다.
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에 따르면 백두산은 지하에 거대한 마그마의 존재가 확인된 매우 위험한 활화산이라고 합니다. 곧 화산활동이 언제든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요.
백두산 꼭대기인 천지에서는 서기 946년 ‘밀레니엄 대분화’가 발생해 남한 전체를 1m나 덮을 수 있는 양의 분출물이 쏟아진 바 있습니다.
이는 과거 1만년 이래 지구상에서 가장 큰 규모의 분화 사건에 속한다고 합니다.
문제는 최근 들어 백두산 화산분화 움직임이 잇따라 관측되고 있다는 점입니다. 2002년~2005년 사이 백두산 천지 근방에서는 화산지진이 3000여회 이상 일어났는데요.
백두산 봉우리 아래에는 김이 모락모락 나는 온천물이 올라오기도 한다고 합니다. 땅 속에 용암이 여전히 끓고 있다는 증거라고 하는군요.
2015년 기준으로 백두산 천지 주변 온천의 온도는 약 80도를 넘어서기도 했다고 합니다.
또한 천지가 부풀어 오르는 등 심각한 화산분화 징후가 나타나고 있어 백두산이 언제, 어떤 규모로 분화할지에 대한 연구와 범국가 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
김복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은 “민족의 영산인 백두산의 화산재해 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입니다”고 말했는데요.
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(화산특화연구센터장)는 “시나리오별로 선제적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”고 강조했습니다.
[저작권자 ⓒ 애니멀플래닛,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]